Archive

희망과 함게 홉을 심다

홉 재배역사

홉은 기원전 또는 이전부터 서아시아와 유럽 일부에 야생호프 자생 추정되며 카스피해 서쪽의 코카서스 산맥이나 아르메니아 메소포타미아 소아시아 고원지대에서 북으로 이동하여 남부 러시아를 거쳐 유럽에 전달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한국 홉재배의 역사

일제 강점기인 1934년 함경남도 혜산지방을 시작으로 1956년 장수, 횡성 , 평창 일대에서 재배하였다. 1970년대에 홉재배의 체계화를 거쳐 1980년대 산업화를 이뤘고 1985년 당시에는 460톤 전량으로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나 이후 수입개방과 홉 노후화로 수확량 감소로 인해 1995년 두산농산 운영을 마지막으로 국내에서는 홉재배가 중단되었다.

  • 홉 포장작업(1930년대)

    홉 포장작업(1930년대)

  • 홉 재배농장(1958년)

    홉 재배농장(1958년)

  • 홉 재배법 개선(1970년대)

    홉 재배법 개선(1970년대)

  • 홉 수확 기계화(1980년대)

    홉 수확 기계화(1980년대)

  • 펠렛제품 개발

    펠렛제품 개발

  • 등급제 실시 품질개선

    등급제 실시 품질개선

홉의 특징

지구상에서 재배하기 가장 까다로운 작물 중 하나인 홉

분류
삼과(Cannabaceae), 환삼덩굴속(Humulus)
학명
Humulus lupulus L .
산업적 이용
홉의 암꽃 - 맥주, 화장품, 음료, 건강보조식품, 천연물의약품(불면증/우울증/비만/치매억제 등)
맥주의 영혼 홉
쓴맛과 아로마, 미생물· 콜로이드·거품 - 안정화, 천연방부제 역할
식물의 성
암수딴그루, 개화 6월경
화서
총상화서(수꽃, 암꽃), 구화
지상경
주피가 육각형, 덩굴성, 가시·털
지하경
원통형
성장크기
덩굴성 식물(6m~12m)
재배지역
위도 35°~55° 독일,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등

홉의 종류

  • Aroma-Hop

    Aroma-Hop

  • Bitter-Hop

    Bitter-Hop

  • Dual-Hop

    Dual-Hop

홉의 성분

분류
삼과(Cannabaceae), 환삼덩굴속(Humulus)
학명
Humulus lupulus L .
산업적 이용
홉의 암꽃 - 맥주, 화장품, 음료, 건강보조식품, 천연물의약품(불면증/우울증/비만/치매억제 등)
맥주의 영혼 홉
쓴맛과 아로마, 미생물· 콜로이드·거품 - 안정화, 천연방부제 역할
홉